fnctId=hist,fnctNo=1642
1988~현재
| 년도 | 내용 |
|---|---|
| 2025년 11월 6일 | 2025년 부산대학교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: "다 함께 만드는 세계" 개최 |
| 2025년 11월 | 2025년 가을 페미서당 <젠더와 생태: 삶의 가능성에 대한 모색> 개최 |
| 2025년 8월 27일 | 6월 민주항쟁 38주년 기념 학술대회 <광복 80주년,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대한 성찰> 개최 |
| 2025년 8월 22일 | 2025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름 세미나 "다시금 피어나는 우리의 흔적들" 개최 |
| 2025년 8월 21일 | 2025년 제24회 여성학 워크숍 <여성과 몸> 개최 |
| 2025년 8월 19일 | 여성연구소 특강 "문학의 불온성과 시민으로서의 시인" 개최 |
| 2025년 8월 | 여성연구소 시민강좌 "우리는 함께 살아간다" 개최 |
| 2025년 7월 | 여성연구소 남성성 강좌 "남자들의 수다" 개최 |
| 2025년 5월 16일 | 2025년 제12회 영남여성학포럼 개최 |
| 2025년 4월 23일 | 2025년도 1학기 부산대 여성연구소 소규모 세미나 간담회 개최 |
| 2025년 2월 28일 | 학술총서 1. 젠더, 이주, 난민-낯선 곳에서 환대받을 권리, 환대할 용기 발간 |
| 2025년 2월 15일 | 성주 사드대책위 소송기금 마련 바자회 기억과 공존 |
| 2024년 11월 21일 | 2024년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 - "삶의 가능성들의 만남" |
| 2024년 11월 | 2024년 부산대학교 외국인 학생 교육, 생활 환경 조사 자료집 발행 |
| 2024년 11월 | 하반기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와 함께 하는 시민강좌-"젠더와 이주: 낯선 곳에서 환대받을 권리, 환대할 용기" (11/6~11/27) |
| 2024년 10월 24일 | 평화포럼-"폐허를 응시하라" |
| 2024년 10월 19일 | "페미니즘 백래쉬와 젠더 게임의 양상들" |
| 2024년 9월 13일 | 제11회 영남여성학포럼-"지역, 이주, 젠더" |
| 2024년 8월 30일 | 제23회 여성학 워크숍-"디지털 시대, 페미니즘으로 미디어 읽기" |
| 2024년 7월 | 2024년 여름 페미서당-"경계를 뛰어넘는 여성: 젠더를 통해 본 이주" (7/30~8/13) |
| 2024년 6월 20일 | 6월 민주항쟁 37주년 기념 심포지엄-"AI시대, 민주주의와 만날 준비" |
| 2024년 6월 12일 | 특강-"나는 왜 여성정책을 연구하는가" |
| 2024년 5월 | 시민강좌-"젠더와 이주:낯선 곳에서 환대받을 권리, 환대할 용기" |
| 2024년 3월 | 2023년 부산대학교 다양성 보고서 발행 |
| 2024년 2월 16일 | 겨울 페미난장 |
| 2024년 2월 |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와 함께 하는 시민강좌-"사랑, 예술을 만나다" |
| 2024년 1월 | 겨울 페미서당-"교차성을 퀴어링하다" |
| 2023년 12월 16일 | 2023년 정기학술심포지엄-"다중위기와 페미니즘" |
| 2023년 11월 30일 | 여성연구소 뉴스레터 창간호 발행 |
| 2023년 11월 2일 | 부산대학교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-"평등한 대학, 정의로운 연결: 대학 공동체, 이대로 좋은가" |
| 2023년 8월 17일 | 여성연구소 여름세미나-"지극히 사소한, 지극이 아득한: 여성의 눈으로 바라본 세계" |
| 2023년 7월 28일 | 여성연구소x오문비 비평 발표 심포지엄 |
| 2023년 6월 16일 | 제10회 영남여성학포럼-"지역·여성·젠더정치" |
| 2023년 5월 19일 | 여성연구소 특강-"남성에게도 이로운 성평등 사회" |
| 2023년 3월 | 2022 부산대 다양성 보고서 발행 |
| 2023년 2월 | 여성연구소 겨울세미나-"페미니즘은 과학기술을 바꾸었는가" 外 |
| 2022년 12월 10일 | 2022년 정기학술심포지엄-"페미니즘과 공정:우리시대의 공정에 대해 질문하다" |
| 2022년 11월 24일 | 부산대학교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-"우리 서로의 여성학" |
| 2022년 6월 17일 | 2022년도 영남여성학포럼-"포스트휴머니즘과 생태적 페미니즘" 外 |
| 2022년 | 여성연구소&웅상도서관 시민강좌: 부산대 여성연구소와 함께 하는 인문학 강좌 (22.05.25.~07.12.) |
| 2021년 12월 3일 | 2021년 정기학술심포지엄 - "팬데믹 이후 페미니즘의 응답" |
| 2021년 12월 16일 | 제8회 영남여성학포럼 |
| 2021년 11월 12일 | 제6회 부산대 성평등네트워크 집담회-"삶의 양식으로서의 여성주의" |
| 2021년 1월 19일 | 2020년 여성연구소 정기학술심포지엄 - 한국전쟁 70년, 여성의 전쟁을 기억/성찰하다 |
| 2020년 12월 17일 | 2020년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 - 차별금지법과 한국 사회의 인권을 묻다 |
| 2019년 11월 8일 | 2019 여성연구소 정기학술심포지움 - 젠더폭력과 페미니즘 |
| 2019년 6월 21일 | 부산대학교 성평등네트워크 심포지엄 - 세상의 상처에 응답하며 |
| 2018년 11월 9일 | 부산대학교 성평등네트워크 제3차 심포지엄-"시대를 넘어, 페미니스트 만나다" |
| 2018년 9월 14일 | 여성연구소 개소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축하연 |
| 2018년 4월 20일 | 제6회 영남여성학포럼 |
| 2017년 10월 27일 | 부산대학교 성평등 네트워크'제 2차 심포지엄"지금, 한국의 여성청년" |
| 2017년 8월 | 학술지 『여성학연구』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선정 |
| 2017년 4월 21일 | 제5회 영남여성학포럼 - 축적적 몸으로서의 디아스포라 여성 外 |
| 2016년 4월 22일 | 제4회 영남여성학포럼-여성의 성과 젠더 인식 |
| 2015년 12월 4일 | 양성평등기반구축 전문가포럼 및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추계학술대회 여성의 삶과 정책 |
| 2015년 4월 25일 | 제3회 영남여성학포럼-글로컬 시대의 여성 |
| 2014년 12월 12일 |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추계학술대회-재난자본주의와 젠더 |
| 2014년 6월 3일 |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-(사)부산여성사회교육원 공동주최 연속특강 여성의 삶의 환경, 그리고 운동 |
| 2014년 4월 25일 | 제2회 영남여성학포럼-여성성과 상호텍스트성 外 |
| 2013년 11월 29일 | 성폭력특별법 20주년 종합토론회-성폭력 생존자: 법에 말을 걸다. |
| 2013년 4월 27일 |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-성평등상담센터 공동학술대회-대학 내 성폭력을 직시하다 |
| 2013년 4월 26일 | 제1회 영남여성학포럼-여성주의 유토피아의 기예 外 |
| 2013년 3월 30일 | 여성연구소 세미나 - 춘향전과 소수의 권리 |
| 2013년 3월 29일 | (사)부산여성사회교육원 공동세미나- 페미니스트, 사회학자 그리고 현장 -조은 |
| 2013년 2월 14일 | 여성연구소 세미나- 사상구 여성친화도시 중장기발전계획 용역발표회 |
| 2012년 9월 1일 | 신빈곤 계층을 위한 한국의 복지정책에 대한 근로빈곤층의 주관적 인식연구 수행과제(~2013.08.31) |
| 2012년 4월 | 부산대 여성연구소-여성학협동과정 공동세미나 |
| 2011년 | 『왜 아직도 젠더인가』발간 |
| 2010년 9월 1일 | 공간 주권 구현 (The Embodiment of space sovereignty) 수행과제 (~2013.08.31) |
| 2009년 8월 30일 | KCI급 학술지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 (~2010.07.31) |
| 2009년 7월 1일 | 기초연구과제 지원사업 (~2011.06.30.) |
| 2009년 6월 1일 | 부산대 기획과제 여대생 커리어 교육과 여학생 공간 개선을 위한 모델개발 |
| 2009년 5월 1일 | 중국의 여성 빈민계층 형성과 복지정책 연구 수행과제 (~2011.04.30.) |
| 2008년 | 여대생 특화 진로교육과정 지원사업 - 2009년까지 |
| 2006년 10월 13일 | 지구화, 다문화 시대의 여성 정체성 국제학술대회 개최 |
| 2006년 | 여성가족부 지원 지역사회맞춤형여성취업지원사업 1개 과정 실시 |
| 2006년 | 노동부 지원 여대생특화취업지원 사업 수행 |
| 2006년 | 효원여성 100인 발굴 선정 |
| 2005년 | 여성가족부 지원 지역사회맞춤형여성취업지원사업 3개 과정 실시 |
| 2003년 7월 | 부산여성과학기술인력양성사업(BWISE) 실시 |
| 2003년 | 여대생 취업기술 향상을 위한 전략 특강 |
| 2002년 11월 | 부산대 여학생 취업률 제고 특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사업 수행 |
| 2001년 7월 | 제1차 부산대 여학생능력개발 연구사업 수행 |
| 2001년 | 『여성과 직업』 발간 |
| 2001년 | 여성부 지원 여성 IT전문 위탁교육 수행 |
| 2000년 11월 | 여성특별위원회 지원 e-biz 과정 위탁 교육 수행 |
| 2000년 | 『여성과 여성학』 발간 |
| 2000년 | 전자상거래 교육교재 『E-Business이론』발간 |
| 2000년 | 1학기 여성과 직업전략 개설(2001년부터 '여성과 직업'으로 개칭) |
| 1999년 12월 | 평생교육원 여성지도자 과정 개설 |
| 1997년 | 『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』발간 |
| 1996년 | 『지역사회와 여성』발간 |
| 1995년 | 『여성과 남성을 위한 여성학』 발간 |
| 1992년 | 『성, 여성, 여성학』 발간 |
| 1988년 | 1학기 여성학 교양강좌 개설 |
| 1988년 12월 3일 | 여성연구소로 명칭 개정 |
| 1988년 7월 23일 | 여성문제연구소로 개소 |

